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한 뇌 연구는 보통 뇌의 각 영역이 가진 기능을 분류하는 게 주목적이다. 사람을 fMRI에 집어넣고 일정한 실험적 조작을 가하면서 뇌의 변화를 촬영한 다음에 실험적 조작에 따라 다르게 변하는 부분을 찾아내는 식이다. 이때 사용하는 통계 방법을 '상관 분석(correlation analysis)'이라고 한다.
그런데 뇌는 항상 뭔가를 하는데다가 fMRI 자체의 잡음도 많기 때문에 그냥 뇌 사진을 보면 크리스마스 트리처럼 온통 반짝반짝하고 있다. 그래서 관련있는 부분만 딱 잘라서 상관분석을 해봐야하는데, 어떤 사람들은 관련있는 부분을 잘라내기 위해 상관분석을 쓴다. 그러니까 상관분석을 해서 실험적 조작과 함께 변하는 점들을 잘라낸 다음에, 이 점들을 실험조건과 다시 상관분석을 하는 것이다. 무안단물 먹고 기적을 경험한 사람만 모아서 무안단물의 효과를 검증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이건 바보거나 사기꾼이거나 둘 중에 하나일텐데 에드 불(Ed Vul) 등이 조사를 해보니 의외로 이러는 사람들이 많다는 게 드러났다. 불 등은 올해 초 그 조사결과를 "부두 상관(voodoo correlation)"이라는 자극적인 제목의 논문으로 기고했는데, 학술지에 실리기도 전부터 대단한 화제가 되었다. 나는 fMRI 안하니까 모르겠지만, 들리는 얘기로는 덕분에 올해부터 심사 과정에서 이런 바보짓을 안했는지 꼼꼼히 살펴본다고 한다.
그런데 이게 왜 바보짓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끝까지 뻗대면서 논쟁 아닌 논쟁이 벌어졌다. 원래 학자들은 '고상한' 분들이라 아무리 개싸움을 해도 학술지에서 논문으로 싸우는데 이번에는 인터넷에서도 막 싸웠다. 물론 블로그에 포스팅하고 그런 건 아니고 여전히 논문의 형식을 갖추어 PDF 파일로 올렸다(이게 더 웃긴다). 그중에 압권은 이거:
이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죽은 연어 한 마리에게 여러 가지 사진을 보여주면서 사진 속의 사람이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생각하도록 지시했다. 그리고 연어의 뇌영상을 촬영하여 이 과제와 관련이 있는 27 mm3 크기 의 영역을 발견했다!!
연어 머리 쪽에 조그만 하얀 점이 해당 영역
물론 논문의 저자들은 그 말많은 "부두 상관"을 사용했다. 이걸로 게임 오버. 나는 못봤는데 사람의 '코'도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걸 "부두 상관"으로 증명한 논문도 있다고 한다.
이 논쟁에서 제일 웃긴(?) 포인트. 이 논쟁의 시발점이 된 불 등의 논문은 아직도 게재가 안됐다.(다시 확인해보니 6월에 실렸음.)
그런데 뇌는 항상 뭔가를 하는데다가 fMRI 자체의 잡음도 많기 때문에 그냥 뇌 사진을 보면 크리스마스 트리처럼 온통 반짝반짝하고 있다. 그래서 관련있는 부분만 딱 잘라서 상관분석을 해봐야하는데, 어떤 사람들은 관련있는 부분을 잘라내기 위해 상관분석을 쓴다. 그러니까 상관분석을 해서 실험적 조작과 함께 변하는 점들을 잘라낸 다음에, 이 점들을 실험조건과 다시 상관분석을 하는 것이다. 무안단물 먹고 기적을 경험한 사람만 모아서 무안단물의 효과를 검증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이건 바보거나 사기꾼이거나 둘 중에 하나일텐데 에드 불(Ed Vul) 등이 조사를 해보니 의외로 이러는 사람들이 많다는 게 드러났다. 불 등은 올해 초 그 조사결과를 "부두 상관(voodoo correlation)"이라는 자극적인 제목의 논문으로 기고했는데, 학술지에 실리기도 전부터 대단한 화제가 되었다. 나는 fMRI 안하니까 모르겠지만, 들리는 얘기로는 덕분에 올해부터 심사 과정에서 이런 바보짓을 안했는지 꼼꼼히 살펴본다고 한다.
그런데 이게 왜 바보짓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끝까지 뻗대면서 논쟁 아닌 논쟁이 벌어졌다. 원래 학자들은 '고상한' 분들이라 아무리 개싸움을 해도 학술지에서 논문으로 싸우는데 이번에는 인터넷에서도 막 싸웠다. 물론 블로그에 포스팅하고 그런 건 아니고 여전히 논문의 형식을 갖추어 PDF 파일로 올렸다(이게 더 웃긴다). 그중에 압권은 이거:
이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죽은 연어 한 마리에게 여러 가지 사진을 보여주면서 사진 속의 사람이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생각하도록 지시했다. 그리고 연어의 뇌영상을 촬영하여 이 과제와 관련이 있는 27 mm3 크기 의 영역을 발견했다!!

물론 논문의 저자들은 그 말많은 "부두 상관"을 사용했다. 이걸로 게임 오버. 나는 못봤는데 사람의 '코'도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걸 "부두 상관"으로 증명한 논문도 있다고 한다.
이 논쟁에서 제일 웃긴(?) 포인트. 이 논쟁의 시발점이 된 불 등의 논문은 아직도 게재가 안됐다.(다시 확인해보니 6월에 실렸음.)
덧글
"오늘 저녁엔 연어 구이를 해 먹을까. 다듬기 전에 일단 대가리는 fMRI부터 찍어 보고..."
논문 검증을 하려면 고위 공직자 후보에 올린 다음 청문회를 열고...(퍽퍽퍽)
저희 선생님께서도 "그냥 찍어서 어디어디가 떴으니까 그 영역이 뭘 하는 곳이에요- 라고 마는 건 정말 crude한 분석이에요" 라고 하셨지만.. 이런 키배가 세상 어딘가에서 벌어지고 있을 줄은 몰랐어요.ㅠㅠ 꼬꼬마의 마음에 한 줄기 스크래치.
제가 있는 업계에도 비슷한 일이 있어서 트랙백 걸어봅니다.
되게 의미적으로 안맞는다고 하는 말씀이
이말이었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