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룹 검사
스트룹 검사 평균
스트룹 효과는 어디에서 오는가
스트룹 효과와 반응시간
스트룹 검사의 상황을 주정뱅이 모형에 맞춰 설명해보자. 일단 주정뱅이의 위치는 어떤 반응에 필요한 정보의 양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 정보가 역치를 넘어서면 반응이 나타난다. 글자와 색깔을 겹쳐놓지 않아도 글자 읽기가 색깔 말하기보다 빠른데 딱히 글자 읽기가 더 역치가 낮을 것 같진 않다. 글자 읽기에 필요한 정보가 색깔 말하기에 필요한 정보보다 더 빨리 쌓인다고 보면 무난할 것이다. 비틀거릴 확률은 주의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어떤 대상에 주의를 기울이면 그 대상의 정보를 수집할 확률이 높아진다.
기왕이면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해보면 좋겠지만 그건 좀 귀찮고.. --; 주정뱅이 시뮬레이터로 실제 데이터와 비슷한 패턴을 만들 수 있는지 시도해봤다. 이 시뮬레이터에서 주정뱅이의 속도를 조절할 방법이 없으니 도랑의 위치를 다르게 했다. 정보가 빨리 처리되는 글자 읽기의 경우는 도랑을 가장 가깝게 하고, 색깔 말하기는 중간 정도, 그 외의 경우는 가장 멀게 했다.
색깔과 글자가 일치하는 조건은 가까운 도랑과 먼 도랑이 있고 가까운 쪽으로 비틀거릴 확률이 80%가 되도록 했다. 색깔만 있는 조건은 중간 거리의 도랑과 먼 도랑이 있고 중간 거리의 도랑 쪽으로 비틀거릴 확률이 80%가 되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색깔과 글자가 다른 조건은 가까운 도랑과 중간 거리의 도랑이 있고 중간 거리의 도랑쪽으로 비틀거릴 확률이 60%가 되도록 했다.
아래 그림은 그 결과를 겹쳐 놓은 것이다. 빨간 색은 일치조건, 까만색은 중립조건, 초록색은 불일치조건이다. 굉장히 단순한 마구잡이 걷기 모형이지만 스트룹 효과와 반응시간에 나온 실제 결과와 비슷한 결과를 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스트룹 검사 평균
스트룹 효과는 어디에서 오는가
스트룹 효과와 반응시간
스트룹 검사의 상황을 주정뱅이 모형에 맞춰 설명해보자. 일단 주정뱅이의 위치는 어떤 반응에 필요한 정보의 양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 정보가 역치를 넘어서면 반응이 나타난다. 글자와 색깔을 겹쳐놓지 않아도 글자 읽기가 색깔 말하기보다 빠른데 딱히 글자 읽기가 더 역치가 낮을 것 같진 않다. 글자 읽기에 필요한 정보가 색깔 말하기에 필요한 정보보다 더 빨리 쌓인다고 보면 무난할 것이다. 비틀거릴 확률은 주의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어떤 대상에 주의를 기울이면 그 대상의 정보를 수집할 확률이 높아진다.
기왕이면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해보면 좋겠지만 그건 좀 귀찮고.. --; 주정뱅이 시뮬레이터로 실제 데이터와 비슷한 패턴을 만들 수 있는지 시도해봤다. 이 시뮬레이터에서 주정뱅이의 속도를 조절할 방법이 없으니 도랑의 위치를 다르게 했다. 정보가 빨리 처리되는 글자 읽기의 경우는 도랑을 가장 가깝게 하고, 색깔 말하기는 중간 정도, 그 외의 경우는 가장 멀게 했다.
색깔과 글자가 일치하는 조건은 가까운 도랑과 먼 도랑이 있고 가까운 쪽으로 비틀거릴 확률이 80%가 되도록 했다. 색깔만 있는 조건은 중간 거리의 도랑과 먼 도랑이 있고 중간 거리의 도랑 쪽으로 비틀거릴 확률이 80%가 되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색깔과 글자가 다른 조건은 가까운 도랑과 중간 거리의 도랑이 있고 중간 거리의 도랑쪽으로 비틀거릴 확률이 60%가 되도록 했다.
아래 그림은 그 결과를 겹쳐 놓은 것이다. 빨간 색은 일치조건, 까만색은 중립조건, 초록색은 불일치조건이다. 굉장히 단순한 마구잡이 걷기 모형이지만 스트룹 효과와 반응시간에 나온 실제 결과와 비슷한 결과를 내는 것을 볼 수 있다.

덧글